본문 바로가기
정보게시판

눈이 내리는 이유? / 형성 과정 / 내리는 조건

by 도링도리 2024. 12. 16.
반응형

눈의 형성과정

눈은 대기의 온도와 수증기의 상태에 따라 형성됩니다.
  • 구름 속에서의 결정 형성
    구름은 대기 중의 미세한 먼지와 수증기가 만나 형성됩니다.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수증기가 얼음 결정으로 변하기 시작합니다. 이 얼음 결정은 눈의 씨앗이 됩니다. 재미있는 사실로, 이런 미세한 먼지를 "응결핵"이라고 부르며, 이는 화산재나 꽃가루 같은 자연 입자일 수도 있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입자일 수도 있습니다.
  • 결정의 성장
    구름 속에는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얼음 결정이 점점 성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얼음 결정의 모양은 대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결정되며, 아름다운 육각형의 눈송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눈송이의 대칭성과 독특한 패턴은 자연이 만들어낸 작은 예술 작품으로 여겨집니다.
  • 지상으로의 낙하
    무게가 무거워진 눈송이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 눈송이가 떨어지는 동안 대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거나 합쳐지기도 합니다. 지표면 온도가 영하라면 눈으로 도달하지만, 영상이라면 녹아 비가 됩니다. 눈송이 하나가 지면에 닿기까지 평균적으로 약 1~2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

눈이 내리는 조건

  • 적절한 온도
    구름 속의 온도가 영하이어야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또한, 지표면 근처의 온도가 0℃ 이하일 때 눈이 녹지 않고 그대로 쌓이게 됩니다. 북극 지방에서는 영하 40℃ 이하에서도 눈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습도
    대기에 충분한 수증기가 있어야 구름이 형성되고, 이 수증기가 얼음 결정으로 바뀌어 눈송이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공기가 건조한 지역에서는 겨울철에도 눈이 거의 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기압과 대기 순환
    특정 기압 패턴과 대기 순환이 눈이 내리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저기압이 발달하면 공기가 상승하면서 구름이 형성되고 강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와 더불어, 산맥 근처에서는 공기가 산을 넘으면서 상승하여 눈이 더 자주 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